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875

(동의보감)대추, 대추 잎, 대추 씨 아래의 자료들은 농촌진흥청에서 다운받은 자료 '2022동의보감 속 식품보감(02 과실류)' 에서 퍼옴. ⭐유의사항⭐ 식품보감은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나 입증이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의사, 한의사 및 영양사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 대추 (대츄) Ziziphus jujuba Mill. var. inemis (Bunge) Rehder 대조(大棗), 건조(乾棗) 🔶주요성분 : Kaempferol 3-O-robinobioside, Nicotiflorin, Quercetin(Isoquercitrin), Rutin 🔶한의학적 효능 • (소화기계 건강) 속을 편하게 하고 소화기관(.. 2023. 3. 8.
(동의보감)유자, 오렌지 껍질, 모과, 배 아래의 자료들은 농촌진흥청에서 다운받은 자료 '2022동의보감 속 식품보감(02 과실류)' 에서 퍼옴. ⭐유의사항⭐ 식품보감은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나 입증이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의사, 한의사 및 영양사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 유자 (유자 柚子) Citrus junos Siebold ex Tanaka 🔶주요성분 : Junosidine, Geraniol, β-pinene, Linalool, Terpinolene, Spathulenol 🔶한의학적 효능 • (소화기계 건강) 위(胃) 속 뭉친 기(체기, 滯氣)를 제거한다. • (숙취해소) 술독을 풀어 준다. • (구강 건.. 2023. 3. 7.
(동의보감)귤 껍질, 귤 과육, 귤 속 흰막, 오래된 귤껍질, 덜익은 귤껍질, 덜 익은 귤 과육 아래의 자료들은 농촌진흥청에서 다운받은 자료 '2022동의보감 속 식품보감(02 과실류)' 에서 퍼옴. ⭐유의사항⭐ 식품보감은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나 입증이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의사, 한의사 및 영양사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 귤 껍질 (귤피 橘皮) Citrus unshiu S.Markov. 홍피(紅皮) 🔶주요성분 : Betaine, Creatine, Trigonelline, α-pinene, Friedeline, Linalool 🔶한의학적 효능 • (호흡기 건강) 기침(해수, 咳嗽)에 주로 쓰고 가래(담연, 痰涎)을 없앤다. • (소화기계 건강) 구토를 멎게 하며.. 2023. 3. 7.
(동의보감)가시연밥, 연밥, 연 뿌리(연근), 연 잎, 연 꽃, 연밥 속 푸른 심 아래의 자료들은 농촌진흥청에서 다운받은 자료 '2022동의보감 속 식품보감(02 과실류)' 에서 퍼옴. ⭐유의사항⭐ 식품보감은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나 입증이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의사, 한의사 및 영양사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 가시연밥 (거싀년밤) Euryale ferox Salisb. 검인(芡仁), 계두실(鷄頭實), 계옹(雞雍), 계두(雞頭), 수류황(水硫黃), 가시연 열매 🔶주요성분 : Amylose, Carotene, Niacin 🔶한의학적 효능 • (신장 건강) 신장의 기(精氣)를 보충하고 의지를 강하게 한다. 동의보감[입문] • (성기능 개선) 정력에 좋고.. 2023. 3. 7.
(동의보감)제비콩, 녹두, 완두콩, 율무, 수수, 피, 귀리 아래의 자료들은 농촌진흥청에서 다운받은 자료 '2022동의보감 속 식품보감(01 곡식류)' 에서 퍼옴. ⭐유의사항⭐ 식품보감은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나 입증이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의사, 한의사 및 영양사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 제비콩 (변두콩) Dolichos lablab L. 작두(鵲豆), 백편두(白扁豆), 편두(扁豆), 까치콩 🔶주요성분 : Folic acid, Selenium 🔶한의학적 효능 • (소화기계 건강) 속을 편안하게 하며, 기를 소통시켜 변비를 치료한다. • (항염증) 급성 위장염으로 토하고 설사가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신경보호) 근육이 .. 2023. 3. 6.
(동의보감)메밀, 메밀 잎•줄기 아래의 자료들은 농촌진흥청에서 다운받은 자료 '2022동의보감 속 식품보감(01 곡식류)' 에서 퍼옴. ⭐유의사항⭐ 식품보감은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나 입증이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의사, 한의사 및 영양사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 메밀 (모밀) Fagopyrum esculentum Moench 교맥(蕎麥) 🔶주요성분 : Catechin, (-)-Epicatechin, DL-α-Tocopherol, Ferulic acid, Isovitexin, Quercetin, Rutin, Syringic acid, Vitexin, Protocatechuic acid 🔶한의학적 효능 .. 2023. 3. 6.
(동의보감)보리, 겉보리, 쌀보리, 보리 싹, 보리 엿기름 아래의 자료들은 농촌진흥청에서 다운받은 자료 '2022동의보감 속 식품보감(01 곡식류)' 에서 퍼옴. ⭐유의사항⭐ 식품보감은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나 입증이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의사, 한의사 및 영양사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 보리 (보리ᄡᆞᆯ) Hordeum vulgare L. 대맥(大麥) 🔶주요성분 : Hordatine A, Hordation B, Hordenine, Distichonic acid A, Mugineic acid 🔶한의학적 효능 • (소화기계 건강) 오장을 튼실하게 만들고, 음식을 소화 시켜 속을 편안하게 한다. • (면역증진) 몸이 허약할 때 기.. 2023. 3. 6.
(동의보감)밀, 밀기울, 밀 쭉정이, 밀 싹 아래의 자료들은 농촌진흥청에서 다운받은 자료 '2022동의보감 속 식품보감(01 곡식류)' 에서 퍼옴. ⭐유의사항⭐ 식품보감은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나 입증이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의사, 한의사 및 영양사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 밀 (소맥 小麥) Triticum aestivum L. 🔶주요성분 : Polyphenols, Policosanol 🔶한의학적 효능 • (해열) 갈증을 멎게 하는데 주로 쓴다. • (이뇨개선)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 (간 건강) 간의 기(肝氣)를 보강하는데 좋다. • (수면개선) 답답하고 열이 나서 생긴 불면증을 치료한다. • (심장 건강.. 2023. 3. 6.
조와 기장의 차이점(유래, 생산현황, 성분과 영양소, 이용분야 등등) 동의보감 포스팅을 하다보니 각 재료가 디테일하게 다르게 분리되어 있고 효능 효과도 조금씩 다른것을 보니까 궁금해져서 찾아봤다. 네이버쇼핑에서 조와 기장을 검색해보면 조와 기장을 분리해서 팔기도 하지만 그냥 같은 묶음으로 파는 경우도 있었는데 자료를 찾다보니 벼과 인것은 같지만 모양은 조금 차이가 있었고, 열매는 비슷해서 육안으로 구별이 될까 싶기도 하고, 사이즈의 차이가 있다고는 하는데 화면으로는 구분이 불가능 할 것 같다. 1. 기원과 분류 🔶조 • 조는 세계 여러 지역 고대문명의 주식이었다. • 우리나라의 경우, 고구려 이전에 조를 비롯한 피, 기장 등이 중국 황하유역으로부터 한반도로 전파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조는 볏과작물로 강아지풀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한다. • 온대에서 아열대까지 광.. 2023. 3.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