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신기한 레시피595

편스토랑 남보라 레시피 (돼지 목살로 초간단 3종 요리-목살육개장, 콜라갈비찜, 목살볶음카레) 방송정보 신상출시 편스토랑 방영일2023.04.14. 회차 171 13남매 장녀 남보라, 돼지목살로 동시에 3개 요리가 가능?! 초간단 3종 요리 | KBS 230414 방송 신상출시 편스토랑 | 13남매 장녀 남보라, 돼지목살로 동시에 3개 요리가 가능?! 초간단 3종 요리 tv.naver.com 초초초 간단 레시피라서 매우 맘에 듬. 아주 익숙한 요리들 -- 육개장, 갈비, 카레를 돼지 목살로 한꺼번에 완성시키는데 돼지목살도 한팩 사면 소진하기가 힘든데 이렇게 먹으면 소진하기 매우 쉬움일듯~ 그리고 돼지 기름이 발연점이 높아 다른 오일보다 건강하고 암 위험도 적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준다는 단일불포화지방산 이라는 것도 올리브 다음으로 많은 지방이라서 일부러 라드라는 기름을 사서 요리에 이용하기도 하.. 2023. 4. 15.
개복치 요리(개복치 머리찜, 개복치 수육, 개복치 맑은탕, 개복치 대창볶음) 개복치 해체 요기 망충하고 귀엽게 생긴 생선은 개복치라고 한다. ㅋㅋㅋ 머리만 잘라둔거 같은데 저게 전체 모양인듯. 갠적으로는 몸이 생기다말고 지느러미로 마무리 된 느낌임. 포항 죽도시장에서는 단 두군데에서만 판매하는데 방송에 나온곳은 태영수산 이라는 곳이다. https://smartstore.naver.com/pjjgaebokchi? 옛날에는 맛도없고 재수없다고 갖다버리던 고기라던 개복치. 요즘은 몸값이 장난아니라구~ 검색해보니 개복치나 돔베기는 경상도 지방에서는 제사상에 올라가는데 개복치는 요즘 물량이 점점 줄고 있다고 한다. 해체중! 지느러미 잘라내고 몸통을 분리해 낸다. 이때 독이 있는 이빨은 건드리지 않아야 한다고. 이게 속살인데 잡아온지 두시간이라 그런지 회로 먹어보라고 주는데 모양을 봐서는 .. 2023. 2. 27.
편스토랑 어남선생 얇고기 레시피 정리(돼지고기 뚝불, 오돌제육-제육타코, 갈배제육, 갈배불고기, 돼지불백) 1. 돼지고기 뚝불 2. 오돌제육 3. 제육타코 4. 갈배제육 5. 갈배불고기 6. 돼지불백 이런것도 있음. 오이 돼지고기 고추장볶음(오이 제육?) 이 레시피는 '농식품 올바로' 에서 퍼왔습니다. 🔶 재료(2인분) ▶재료 : 오이 1/2개, 돼지고기 400g, 마늘 5쪽 ▶양념 : 간장 10g, 고추장 15g, 파·마늘·생강 다진 것 각각 10g, 설탕 5g, 조청 10g, 후추 suger-salt.tistory.com 청국장 제육볶음(응용편, 돼지고기 제육볶음 레시피 총정리) 청국장 제육볶음 레시피(고추장, 된장도 아니고 청국장?) 급하신 분들을 위한 요약. - 제육볶음 양념 황금비율 1, 2, 3, 4 맛술 또는 물 1스푼, 설탕 2스푼, 간장 3스푼, 고추장2스푼 + 청국장2스푼 - suger-sa.. 2023. 2. 21.
유자잎 활용방법(유자잎쑥떡, 유자잎전복우럭찜) 유자잎쑥떡 쑥떡인데 콩고물이 좀 특이해서 가지고 와봤다. 👉 네이버 지식백과 검색해보니 유자잎인절미 경상도 지방에서 즐겨 먹던 떡으로, 찹쌀가루를 쪄서 치대어 콩과 유자잎으로 만든 고물을 묻힌 떡이다. 이 떡은 유자잎의 은은한 향을 즐길 수 있는 떡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유자가 많이 생산되는 남해 지역에서는 유자잎도 열매 못지않게 향이 진하다는 사실을 알고 오래 전부터 유자잎 인절미를 만들어서 은은한 유자향을 흠뻑 즐겼다. 라고 한다. 여기서는 청태가루와 유자잎 가루를 섞어서 떡고물로 사용했다고 하심. 청태는 아래처럼 생겼는데 청서리태라고 불리기도 하는 것 같다. 주로 송편에 소를 넣을 때 주로 이용된다고 하는데 메주를 뜰때도 쓰고 보통 콩쓰임새로는 다 쓰인다. 특징은 비타민 C가 좀 더 많은듯 하고 .. 2023. 2. 20.
복어의 종류와 탕 - 밀복중탕, 건쫄복탕(건졸복탕) 복어의 종류🔶 검복(황복)/참복뇌피셜 아마도 비슷한 크기 모양새로 배의 색만 황색이면 그게 검복 황복이라고 불리는듯 하다.참복도 독이 있긴 있다는거!🔶 밀복(독복)밀복(독복)은 검복(참복), 쫄복에 비하여 크기가 작으며, 보통 200~300g 내외 크기의 복어로 복어중에 독이 가장많은 복어에 속합니다.🔶 쫄복(약복)쫄복(약복)은 검복(참복),밀복에 비하여 크기가 작으며, 보통10cm이내 크기의 복으로 작아서  졸복또는 쫄복이라 칭한다. 복어중 독성이 제일 많은 복어에 속하여 복어중(독복)으로 널리 쓰이는 어종으로 알려져 있다.밀복중탕한국인의 밥상 2020.11.12. 486회“도착하니 인천!-제2의 고향 밥상"시간이 멈춘듯한 식당에서 만나는 푸짐한 인심! 어느 노포의 복탕과 돈가스 복어회는 참복을 .. 2023. 2. 16.
해조류-세미(세모가사리), 지충이, 모자반(몸, 몰, 말, 진저리), 뜸부기(듬북) 뭐가 다른가?세미(세모가사리), 몰(몸), 지충이는 생물 분류 단계로 보면 같은과에 속한다. 다시마, 미역도 같은 갈조강에 속함.보통 모자반과에 속한 것들 중에 우리가 흔히 접하는 해조류는 톳인것 같다.세미랑 지충이, 모자반(몸, 몰) 이런건 는 태어나서 처음 본 것 같음. 검색해보니 세미는 세모가사리 라고 판매하고 있다. 밑에 어머님이 말씀하신 것 처럼 국으로도 끓이고 볶아서 고소하게 먹기도 하고, 해초샐러드, 밥할때도 넣기도 하고...많이들 먹던~ 비슷한 계열이니 비슷하게 활용하면 될듯하다. 톳과 모자반은 섭취시 주의 사항이 있다고 하니 아래글에서 꼭 확인하세요~ 식용 해조류 총 정리해조류는 물속에 사는 조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약 2만 종 이상이 있으며 식용으로 먹어 온 것은 수백 종이다. 우리 .. 2023. 2. 16.
전복장, 양념 건전복, 건전복초무침, 전복내장주먹밥, 전복내장전(전복 손질법, 보관법까지) 전복 손질법 전복은 칫솔로 살살 문질러 깨끗하게 씻어 준비하고 입부분에 숟가락을 뒤집어서 넣고 살짝 밀어주면 내장을 터트리지 않고 분리할 수 있음. 내장도 분리해서 튀어나온 부분을 제거해야 질겅거리는 식감이 없다고. 내장색이 다른 경우가 있는데 그건 암컷 수컷의 차이라 상관없음. 그리고 입도 제거. 입자르면서 식도도 같이 제거 해 주도록 한다. 입은 식감이 좀 딱딱하기도 하고 세균이 많기 때문에 제거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영상으로 보기 https://youtu.be/Y4txrOF3Ecc 남은 전복 보관하는 방법 인터넷으로 구매해서 대량이거나 1인 가구이거나 할 때에는 식재료가 항상 남기 때문에 보관을 잘 해야 하는데 👉 냉동보관 1_세척후 보관(껍질 상관없으나 내장 따로 보관하려면 손질 후 보관) 2_.. 2023. 2. 14.
매생이 요리, 매생이찜, 매생이 파스타, 매생이 돼지고기국, 매생이 수제비 닭곰탕, 매생이국(매생이탕, 감자 넣어서), 매생이 깻잎 달래장 국립수산과학원 블로그 20년도 올라온 글에 보면 https://blog.naver.com/nifskorea1/222039064298 - 매생이는 '생생한 이끼를 바로 뜯는다'는 순우리말이다.- 자산어보에 매산태, 세종실록지리지에 매산이 라고 기록되어 있다.- 매생이는 환경오염에 민감, 청정바다에서만 자란다.- 우리나라 남해안 지방의 특산물, 주로 겨울철에 채취 11월부터 3월까지가 제철.- 매생이는 지형적으로 구석진 곳, 조류가 완만하고 물이 잘 소통되는 깨끗한 곳에서 잘 자란다.- 비슷하게 생긴 파래보다 굵기가 훨씬 가늘어서 여린 머리카락 같다고.- 매생이 굴국, 매생이전, 매생이굴전, 매생이 떡국, 매생이 칼국수, 매생이죽, 매생이 스파게티, 매생이 리조또, 매생이 계란말이, 매생이 해물찜, 매생이 .. 2023. 2. 13.
북한의 밀가루 버무리밥(가루밥) 밀가루 버무리밥두부를 으깨놓은 것 같이 보이는 밀가루 버무리밥.옛날에 밀가루를 70-80% 줬는데(배급말씀하시는듯?) 빵 해먹고 수제비해먹고 질릴대로 질렸을때 어머니들이 이렇게 쌀과 밀가루를 얹어서 해주셨다고.영상에서는 밀가루를 반죽을 해서 알맹이처럼 만들어서 밥위에 얹어서 밥을 한다고 간단하게 나오는데.예상하기에는 밀가루에 물을 조금씩 넣어 살살 뭉쳐서 알갱이를 만들어 주고 밥위에 뿌리는데 처음부터 넣어서 같이 밥을 하는게 아니고 뜸들일때 쯤 넣어서 익히기만 하는것같음. 솥에 뿌릴때 밥이 어느정도 된 것 같이 보임.영상으로 봐보기 https://tv.naver.com/v/1155973맛보시는 중.심영순 심사위원은 맛보시기도 전에 저걸 저렇게 섞어서 먹으면 잘 넘어 가겠다며 조상들의 지혜가 훌륭하다고 칭.. 2023. 2. 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