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기한 레시피

국파래개떡, 파래떡

by 수비수비 2023. 2. 11.
728x90
반응형

일반파래와의 차이점

완도의 섬, 넙도에서도 보기 힘드어져 귀한 대접을 받는 파래가 있다. 주민분의 말씀으로는 국파래는 더 미끌미끌하고 잎이 더 넓적하며, 일반 파래는 잎이 좁고 더 빳빳하고 미끄럽지 않다고 한다.

일반파래
국파래(한국인의 밥상 398회)

728x90
 

산파래 호롱구이

전남 고흥에서는 파래를 나무젓가락에 감아 구워먹는다고 한다. 낙지호롱이처럼 감아서 먹는다고 해서 산파래 호롱구이라고 부른다. 산파래 라고 해서 산파래 라는 종류가 따로 있나 궁금해서

suger-salt.tistory.com

국파래개떡

국을 끓여먹는게 보통이지만 넙도에서는 이 국파래로 떡을 만들어 먹기도 했다.

쑥처럼 밀가루에 버무려 솥에넣고 쪄서 먹는다.

쑥버무리는 쑥향으로 먹는건데 국파래도 향이 있으려나 간단하지만 궁금해지는 맛.

한국인의 밥상 398회

반응형

파래떡

전라남도 해남에서 사시는 할머님이 알려주신 이떡은 허드레떡으로 이웃간에 그냥 나눠먹던 떡이다.

(*허드레떡은 특별한 행사나 제례에 사용되는 고급 떡이 아닌, 일상적으로 먹거나 간단하게 즐기는 떡을 의미한다. 주로 남은 재료나 자투리 재료를 활용하여 만들거나, 모양이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떡을 허드레떡이라고 부름.)

 

만드는 방법은 위와 비슷한듯 조금 다르다.

파래를 쫑쫑썰어서 쌀가루와 잘 섞어서 찜기에 올려준다. 영상을 보니 팥도 같이 섞어주신듯...

소금, 설탕 간도 당연히 해야하고..

한국인의 밥상 60회

위에 팥도 솔솔 올려주고...

한국인의 밥상 60회

쪄내면 완성이다.

한국인의 밥상 60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