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857

미량무기질, 셀레늄Se-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1 영양소의 특성 1-1. 개요 셀레늄(selenium, Se)은 1930년대 미국 대초원 지대에서 셀레늄이 많은 토양에서 자란 식물을 섭취한 가축에서 알칼리병(alkali disease)이라는 만성중독증이 발생하였고, 1970년대 후반에 중국의 케산 지방에 서 셀레늄 결핍증이 풍토병으로 보고된 이후에, 미생물의 성장 및 동물영양에 필수 요소이고 항산화와 항 암효과 등을 가진 영양소로 알려졌다 [1-4]. 셀레늄은 많은 식품에 존재하는 미량영양소로 섭취하거나, 식 이보충제를 통해 섭취가 가능하다. 셀레늄은 인간에게 필수 영양소 인데, 여러가지 셀레노프로테인 (selenoproteins)의 형태로 생식, 갑상선호르몬 대사, DNA 합성 및 산화적 손상과 감염으로부터 보호 등 의 중요한 작용을 한다 [1]... 2022. 11. 13.
미량무기질, 몰리브덴Mo-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1 영양소의 특성 1-1. 개요 몰리브덴(molybdenum)은 크잔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 알데히드 산화효소(aldehyde oxidase), 아황산 산화효소(sulfite oxidase)의 보조인자로 사람에서 요산(uric acid)생성 과정에 관여한다. 건강한 사람에서는 몰리브덴 결핍이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없으나 [1]. 몰리브덴 과잉섭취에 의한 독성연구는 반 추동물, 설치류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사람에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2]. 1-2. 흡수, 분포, 대사, 배설 몰리브덴은 장의 흡수 위치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수동수송에 의해 흡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식사 내 흡수율은 성인은 최소 40%에서 100%까지 흡수되는데 [4-8], 20대 일본인 .. 2022. 11. 13.
미량무기질, 크롬Cr-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1. 영양소의 특성 1-1 개요 크롬(원자번호 24, 원자량 51.996 g/mol)은 주기율표의 6족에 속하는 원소로 은색의 전이금속이다. 잘 변색되지 않고 녹는점이 높으며 크롬의 산화물은 부식되지 않아 특히 철과 같은 금속의 도금용으로 사용되 어왔다. 크롬산화물은 여러 형태의 이온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장내 흡수율은 매우 낮아 0.5-2%이하로 추 정된다 [1]. 식품 속에 존재하는 크롬의 주요 형태는 3가(Cr(III))이며 간혹 4가의 크롬(Cr(IV))으로 오염되 어 있다고 해도 위산에 의하여 환원되어 쉽게 3가로 전환된다. 그러나 크롬산(chromate)이나 이크롬산 (dichromate)으로 존재하는 4가의 크롬은 강한 산화제이므로 인체에 매우 해롭다. Mertz (1993)는 크롬이 니코틴.. 2022. 11. 12.
인산염(식품첨가물)에 대해 알아보자. 바쁜 분들을 위한 요약💌 식품첨가물 인산염은 자연식품에도 많이 들어있는 영양소로 안전한 물질이다.💌 현재 한국인의 인 섭취율은 상한선 대비 적정수준이지만💌 그러나 식품가공기술의 발달로 인의 섭취가 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자연식품보다 식품첨가물로의 흡수율이 높은 편이다.💌 과잉 섭취시 사망율은 1.3배, 1.8배 높다.💌 최신연구에 따르면 신체활동을 저하시킬수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상한섭취율은 3,500mg/일, 권장섭취량 700mg/일💌 백미, 육류, 멸치, 견과류, 우유류, 치즈, 달걀, 베이킹파우더에 많이 들어있다.💌 자연식품보다 가공식품의 흡수율이 높기 때문에 가공식품 섭취시 주의 요망.1 인[P]이란 무엇인가?🔷 - 원소기호 P인 인(phosphorus)은 원자번호가 1.. 2022. 11. 11.
에너지-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1. 영양소의 특성 1-1 개요 에너지는 인간의 생명과 생존 유지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인간은 식품섭취를 통해서 에너지를 얻고, 이는 신체의 다양한 기능을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인체의 1일 총에너지소비량(Total energy expenditure, TEE)은 기초대사량(Basal energy expenditure, BEE), 신체활동대사량(활동에너지 소비량)(Physical activity energy expenditure, PAEE), 식사성 발열효과(식품이용을 위한 에너지 소비량)(Thermic effect of food, TEF)로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적응대사량이 더해지기도 한다 [1,2](그림 1). 에너지 평형은 섭취에너지와 소비에너지가 동일한 상태(섭취에너지=소비에너지)를 뜻하는데, .. 2022. 11. 10.
콩국(전국 콩국 맛집 리스트도~) 콩국 신기방기한 레시피 찾다가 콩국이란걸 보게 됨. 한국인의 밥상 349화인데 2018년도 1월 방송에 나옴. 우선 방송에 나온 콩국 요약. 대구에서 택시기사들 사이에 입소문이 자자하다는 특별야식 콩국. 요렇게 만든다. 불린 생콩을 갈아서 끓인다음 비지는 걸러내고 맑은 콩물만 받아 한번 더 끓인다. 여기에 미리 숙성시켜 놓은 밀가루 반죽에 칼집을 넣고 기름에 튀긴다. 이렇게 하면 부풀어 오르면서 안에 구멍이 생겨 식감이 쫀득해진다고 한다. 바로 반죽해서 튀긴 찹쌀은 바삭바삭하다고. 튀김과 콩물. 50여년전 중국화교들의 음식에서 영향을 받아 만들어 팔기 시작하면서 유명해 졌다고... 영상으로 보기 야식, 밤을 낮처럼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단함을 달래는 콩국 한국인의 밥상 | 야식, 밤을 낮처럼 살아가는 사람.. 2022. 11. 9.
녹차튀김 녹차잎도 튀겨먹는다. 이쯤이면 신발도 튀기면 맛있다는건 학계의 정설.. 생녹차잎을 튀기뭇는건데 구하기는 어렵겠지... 말린 녹차잎도 튀길수 있을까? 전은 가능하겠지만....?? 여튼 여긴 생녹차잎을 튀겨먹는 레시피이다. 01. 재료 (4인분) 차 생엽(1창2기를 1개로 하고 1인분 3개정도), 밀가루 1컵, 계란물 1컵(※ 계란 1개(40cc)를 풀어서 냉수를 더해 한컵으로 한다.), 식용유 적량, 가는 소금 작은술 ¼ 02. 만드는법 1. 찻잎은 줄기까지 그대로 사용한다. 잎이 따로 떨어진 것은 3~5장씩 모아 사용한다. 2. 계란을 잘 풀어서 냉수를 더해 계란물을 만들고 정한 분량의 밀가루를 빠르게 저어섞어 튀김옷을 입힌다. 3. 기름온도는 160도 정도로 약간 낮은 온도로 한다. 4. 줄기를 따고 .. 2022. 11. 8.
무기질, 인P-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1. 영양소의 특성 1-1 개요 원소기호 P인 인(phosphorus)은 원자번호가 15로 질소족 원소 중 하나이다. 인은 크게 두 가지 유기인 과 무기인으로 나눈다. 성인 체내에는 인이 최대 약 850 g 존재하며, 체내 인의 85%는 골조직에, 14%는 연조직이나 세포막에, 1%는 세포외액에 존재한다 [1]. 인은 세포막과 세포벽을 구성하는 성분이며 인산염 의 형태로 자연에서 흔하게 얻을 수 있는 무기질이다. 자연계에서 인은 5가의 음이온으로 산소와 결합하여 PO4 3- 형태로 존재한다. 인은 생물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무기질로서 세포의 에너지 대사, 체 액의 산염기 균형 조절, 세포막의 구성성분, 생체신호전달, 경조직의 구성 등에 기여한다 [2]. 세포의 원형 질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는.. 2022. 11. 8.
오만둥이 깍두기 한국인의 밥상 579편에 오만둥이 깍두기가 나왔다. 김장 김치의 경우는 오래두고 익혀먹는 음식이라서 안에서 해산물이 약간 액젓처럼 같이 삭아지면서 맛있어지는데 오만둥이 깍두기도 그런개념이 아닐까 했는데 검색해보니 잘나오지도 않기도 하지만 영상에서 말하는 것이나 유일하게 찾은 오만둥이 무채김치 영상을 봐도 그런 느낌은 아닌것 같음. 김장개념보단 바로바로 담궈먹는 느낌~익으면 익은대로 또 색다른 맛이 날듯... 여튼 오만둥이를 넣어서 깍두기를 담구면 시원한 맛이 난다고~ 만드는 방법 무에 소금에 절이고 손질해서 잘썰어둔 오만둥이를 넣고 섞섞 갖은 채소와 배, 식은밥, 고춧가루 등등 갖은 양념과 액젓을 넣고 버무리면 끝. 영상으로 보기~ 바다를 가득 품은 맛, 시원한 ‘오만둥이 깍두기’ | KBS 221006.. 2022. 11.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