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857

다량무기질, 칼륨K-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1 영양소의 특성 1-1. 개요 세포 내 가장 풍부한 1가 양이온인 칼륨은 많은 식품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며 보충제로도 제공되는 필수 영양소이다. 칼륨은 모든 신체 조직에 존재하며 세포내액 용적 및 세포내외 전기화학적 농도차 유지 등 정상적인 세포 기능에 필수적인 무기질이다 [1]. 대부분의 칼륨은 세포 내에 존재하며 Na/K ATPase pump를 통해 세포 내 칼륨의 농도를 유지하면서 세포내외의 전기화학적 농도차를 형성하여 신경 전달, 근육 수축 및 신장 기능에 영향을 준다. 칼륨의 정상 혈청 농도는 약 3.5-5.0 mmol/L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설사, 구토, 신장 질환, 특정 약물 사용 및 칼륨 배설 변화 등의 상태는 저칼륨혈증 (3.5 mmol/L 미만의 혈청 수준) 또는 고칼륨혈증 (5.. 2022. 11. 16.
다량무기질,마그네슘Mg-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1 영양소의 특성 1-1. 개요 마그네슘(magnesium)은 마그네시아라는 그리스 지명에서 유래된 초록색의 식물 색소인 엽록소를 구성 하는 성분으로 부족하면 식물의 성장이 저해된다. 1932년 마그네슘이 쥐에게 필수적인 영양소로 인정된 이후에 인간에게도 그 중요성이 인정되었다 [1, 2]. 식물은 필요한 마그네슘을 토양으로부터 얻고, 인간은 주로 식물성 식품이나 초식동물의 육류를 통해 섭취한다. 마그네슘은 염기성 이온으로 칼슘, 칼륨, 나트륨 에 이어 네번째로 체내 함유량이 높은 양이온이고 세포내액에는 칼륨 다음으로 함유량이 높다. 체내 총 마그네슘 보유량은 성인의 경우 약 25 g(1,000 mmol) 정도이며, 이 중 50-60%가 뼈와 치아에 존재하고 나머지의 대부분은 연조직에 존재한다. 체내 총.. 2022. 11. 15.
미량무기질,철Fe-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1 영양소의 특성 1-1. 개요 철은 많은 식품에 천연적으로 들어있고, 식품에 첨가되기도 하고, 식이보충제의 형태로 섭취하기도 한다. 철은 폐에서 조직으로 산소를 전달하는 적혈구 단백질인 헤모글로빈의 필수 성분이다 [1]. 철은 산소를 공 급하는 또 다른 형태의 단백질인 미오글로빈의 구성성분으로 근육 대사와 결합 조직의 건강을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2]. 철은 또한 신체의 성장, 신경의 발달, 세포의 기능, 그리고 몇몇 호르몬의 합성에도 필요 하다 [2, 3]. 식사로 섭취하는 철은 헴철과 비헴철의 두 가지 형태를 지닌다 [4]. 식물과 철강화 식품은 비헴철만 함 유하고, 육류, 해산물, 가금류는 헴철과 비헴철을 둘 다 함유한다 [2]. 철이 프로토포르피린 Ⅸ에 결합한 형태인 헴철은 전체 철 섭취량의 .. 2022. 11. 15.
미량무기질,아연Zn-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1 영양소의 특성 1-1. 개요 아연은 체내 100여개 이상의 효소의 구성요소로 작용하여 촉매 활성에 기여하고, 일부 전사인자 단백질 의 구성요소로서 유전자 발현 조절과 그 외 면역작용 및 세포분열에 관여한다 [1-4]. 20세기 초 이후 동물 과 인간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거쳐 1963년에 인간의 성장에 필수적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1, 5]. 아연은 크기가 작은 이온(0.065 nm)이며 2가 이온으로 강한 Lewis acid(electron acceptor)이다. 세포 내에서 유 리 Zn2+형태로는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하며( 2022. 11. 15.
미량무기질, 구리Cu-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1 영양소의 특성 1-1. 개요 구리(copper)는 성인의 체내에서 약 50-120 mg이 존재하는 필수 미량무기질이다 [1]. 포유 동물에서 구리의 필수성은 1928년 Hart 등이 구리가 적혈구생성에 필수적이라는 보고에 의해 공고히 되었다. 전이 금속원소인 구리는 Cu+나 Cu2+로 전환될 수 있어 여러 효소의 구성성분으로 산화환원반응에 관여한다. 이 외에도 철의 운반, 결합조직의 가교결합 형성, 항산화 작용을 비롯한 다양한 체내 기능을 수행한다 [2]. 따 라서 구리의 결핍은 이들 효소의 활성저하를 초래하여, 빈혈, 저색소증, 호중구감소증, 신경학적 이상과 같 은 결핍증상을 나타낸다 [2]. 또한 구리 과다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의 증가, 간 손상을 일으키며 이로 인해 위장 장애, 메스꺼움, 설사.. 2022. 11. 14.
미량무기질, 불소F-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1 영양소의 특성 1-1. 개요 불소(fluorine)는 원자 질량이 18.998인 기체 할로겐으로서 화학적으로 가장 반응성이 높고 전기적으로 음성인 음이온 형태, 즉 fluoride(F-)로 존재한다 [1]. 불소는 물, 공기, 토양, 암석 등 어디에나 있으나 암석 과 토양에 있는 대부분의 불소는 단단히 결합되어 있고 생물학적으로 이용이 불가능하다. 불소는 담수 및 해수를 포함한 모든 수원에 존재하는데, 지표수보다 지하수에 많고, 지역에 따라 식수의 불소함량은 다양 하다. 공기 중에도 토양, 산업폐기물의 소각 과정 등에서 유래한 기체 형태의 불소가 존재하나 그 양은 매우 낮아 흡입을 통한 불소 노출량은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이다 [1]. 불소는 대부분 화합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불소는 수소와 가역적으로 .. 2022. 11. 14.
미량무기질, 망간Mn-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1 영양소의 특성 1-1. 개요 망간(화학명: manganese, 원소기호: Mn)은 암석 등에서 발견되는 자연발생 금속이며, 산소, 황, 염소, 탄소 등과 결합한 형태의 화합물로도 존재하고, 여러 종류의 식품에도 함유되어 있다 [1-3]. 망간은 견과류, 전곡류 등의 식물성 식품과 조개, 홍합 등의 어패류에도 함유되어 있다 [4]. 망간은 인체에 약 10-20 mg(70 kg 성인 남자 기준) 정도 존재하며 그 중 25-40%는 뼈에, 나머지는 간, 췌장, 신장 등 대사가 활발 한 장기와 조직에 골고루 분포한다 [5]. 망간은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아 르기닌 분해효소(arginase), 인산에놀피루브산 탈탄산효소(phosphoenolpyruvate d.. 2022. 11. 14.
심폐소생술 배워두기 이번 이태원 사건으로 심폐소생술에 대해 알아둬야겠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은것 같다. 나도 그런 생각을 갖고만 있다가 식품관련 공부하다가 우연히 심폐소생술 관련 공문과 관련 정보를 찾게되어서 포스팅을 남겨본다. 글은 1 비대면 교육자료 영상으로 시청하기 2 심폐소생술 일반인 오프라인 교육 신청하기 3 문서로 배우기 4 기타 관련 정보 순서로 되어있으니 급하신 분들은 해당 위치로 가서 배우면 됨. 내가 찾은 공문은 22년 1월 질병관리청에서 보도자료로 올라온 자료이다. 우선 공문 내용. 🔷 질병관리청(정은경 청장)은 1월 27일, 「일반인 심폐소생술 표준 교육 프로그램 2022년 개정판」을 개발하여 심폐소생술 교육에 활용하도록 배포하였다. ○ 심폐소생술은 심장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멈췄을 때 정지된 심장을.. 2022. 11. 13.
미량무기질, 요오드I-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1 영양소의 특성 1-1. 개요 요오드(Iodine)는 프랑스 화학자 Barnard Courtois에 의해 1811년에 발견되었다. Courtis는 화약에 필 요한 질산칼륨을 생산하기 위해 해초에서 나트륨과 칼륨 화합물을 추출한 후, 남은 재에 황산(H2SO4)을 실수로 많이 첨가하자 자주/보라색 연기가 발생되면서 이 연기가 실내에서 응축된 덩어리가 바로 요오드였 던 것이다. 요오드의 원소기호는 I, 원자 번호는 53, 분자량은 126.904 g/mol으로 인체의 필수 미량성분으 로 특히 갑상선 호르몬 티록신(thyroxine, T4)과 트리요오드티로닌(T3)의 구성성분이다. 또한 원자 번호가 크고 유기 화합물과 쉽게 결합하는 특징이 있어 의료환경에서 흔히 사용된다. 요오드와 요오드화물의 용액 인 요오드.. 2022. 11.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