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공부/동의보감

(동의보감)오수유, 산수유

by 수비수비 2023. 4. 6.
728x90
반응형

아래의 자료들은 농촌진흥청에서 다운받은 자료 '2022동의보감 속 식품보감(05 나무류)' 에서 퍼옴.

 

⭐유의사항⭐

식품보감은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나 입증이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의사, 한의사 및 영양사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

오수유 (수유나모여름 吳茱萸)

Euodia daniellii Hemsl.

오수(吳茱), 좌력(左力)

🔶주요성분 : Evodiamamine, Rutaecarpine, Dehydroevodiamine, Evocarpine, Evodol, Evorubodinin, Ruticarpsides A, B, C

 

🔶한의학적 효능

(소화기계 건강) 주로 속을 따뜻하게 하며 기를 내려 변비를 없앤다.

(통증개선) 위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항균) 감염으로 인한 토하고 설사하는 급성 위장염을 치료한다.

(신경보호) 근육이 뒤틀리는 것을 치료하며 습()이나 피()로 인해 다리가 저린 것을 없앤다.

(신장 건강) 신장의 기를 조절한다.

(뼈 건강) 다리에 힘이 없고 제대로 걷지 못하는 각기병을 치료한다.

(항암) ()와 혈()이 오랫동안 뭉친 덩어리(정가, 정가)를 깨뜨린다.

(호흡기 건강) 가래를 없앤다.

 

🔶한의학적 성질

성질이 뜨겁고 맛은 맵고 쓰며 독이 조금 있다. 동의보감[입문]

 

🔶가공방법

푸른빛을 띤 초록색이며 쓸 때는 더운물에 담가 쓴 물을 6~7번 빼낸 후에 소금물이나 황련(속썩은풀 뿌리로 대체) 우린 물에 적시고 볶아서 사용한다.

99일에 따서 그늘에 말린다.

 

🔶섭취방법

(소화기계 건강) 신물이 위로 넘어와 배가 찌르듯이 아픈 경우에는 오수유 1(180ml)을 물에 달여 먹으면 낫는다.

(통증개선) 배 아픈게 참을 수 없을 때는 물에 달여 먹는다.

(신장 건강) 방광이 차가울 때는 물에 달여 먹는다.

(주의사항) 많이 먹으면 숨이 막혀 입을 벌리고 눈을 치뜨는 증상이 나타난다.

 

🔶궁합이 맞는 재료

황금(黃芩) 동의보감[입문]

 

🔶유래, 특징

잎은 참죽나무와 비슷하면서 넓고 두꺼우며 자주색이다. 3월에 보라색 붉은 꽃이 핀다. 7~8월에 열매를 맺는데, 초피 열매와 비슷하며 어릴 때는 약간 노랗다가 다 익으면 진한 자주색이 된다. 동의보감[입문]

우리나라에는 경주에서 주로 생산된다. 동의보감[속방]

 

🔶문헌은 기본적으로 동의보감(본초)에서 인용하였고, 이외의 문헌만 별도로 표시

728x90

산수유 (산수유 山茱萸)

Cornus officinalis 냐듀. et Zucc.

촉조(蜀棗), 기실(), 서실(鼠失), 석조(石棗)

🔶주요성분 : Loganin, Morroniside, Sweroside, Gallic acid, Dimethyl malate, Logmalicids A, B

 

한의학적 효능

(신장 건강) 신장의 음기(陰氣)를 강하게 만든다.

(이뇨개선) 소변이 잦은 것을 치료한다.

(남성 생식기 건강) 발기를 돕는다.

(통증개선) 오래 지속되고 때로 아픈 두통(頭風)을 치료한다.

(관절 건강)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한다.

 

🔶한의학적 성질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맛은 시고 떫으며 독이 없다.

 

🔶가공방법

술에 담가 씨를 빼고 약한 불에 쬐어 말려 쓴다. 동의보감[입문]

살은 원기(元氣)를 강하게 하고 정액()이 새는 것을 막지만, 씨는 정액이 새어나가게 하니 뺀다. 9월과 10월에 열매를 따서 그늘에 말린다.

 

🔶섭취방법

(신장 건강) 신장을 따뜻하게 하고 정액(精氣)이 새어나가는 것을 막는데는 환으로 먹거나 달여 먹는다.

(이뇨개선) 소변이 잦은 것을 멎게 하고, 노인이 소변을 정상적으로 못 볼 때는 달여 먹거나 환으로 먹으면 좋다.

(남성 생식기 건강) 신장의 정액과 골수를 보충하고 새나가지 못하게 한다. 달여 먹거나 환으로 만들어 먹으면 좋다.

(통증개선) 두통과 머리가 아픈데 주로 쓰거나 또는 간이 허약하여 어지러울 때에도 쓰니 간(肝臟)의 약으로 달여서 먹는다.

 

🔶유래, 특징

잎은 느릅나무와 비슷하고 꽃은 희다. 열매가 막 익어서 마르지 않았을 때는 붉은색에 구기자만 하여 씨가 있는데 먹을 수 있다.

마른 뒤에는 껍질이 매우 얇아진다. 씨를 발라내고 살과 ᄁᅠᆸ질을 쓰는데, 한 근에 4(120g) 나오는 것이 정상이다.

석조(石棗)라고도 한다. 동의보감[입문]

 

🔶문헌은 기본적으로 동의보감(본초)에서 인용하였고, 이외의 문헌만 별도로 표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