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기한 레시피

창젓, 숭어창젓

by 수비수비 2025. 2. 14.
728x90
반응형

여기는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장고리, 소금이 나는 곳이다.

서진자님의 시아버지가 즐겨 드셨다는 숭어 창젓이다.

 

소금에 절여둘때 소금의 양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면 된다.

본 내용은 (주)교문사의 '전통저장음식'이라는 책에서 가져왔다.

 

우리나라 젓갈 제조법은 소금을 10% 내외 사용하는 저염 젓갈류와 20% 내외의 식염만을 침장원으로 하는 것, 30~35%의 고염도에서 장기간 저장되는 젓갈이 있다. 대개는 원재료 양의 20~35%의 고염도에서 장기간 저장되는 젓갈이 있다. 대개는 원재료 양의 20~35%의 소금이 첨가된다고 말하고 있으나 어패류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어떤 온도에서 저장하고 발효시키느냐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젓갈은 어패류의 조직에 소금이 균일하게 침투되어 소금을 대용할 수 있는 양념의 형태로 이용되고 젓갈의 어체를 완전히 분해하여 얻은 액젓도 조미 양념으로 이용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젓갈 레시피(전복젓, 전복내장젓, 소라젓, 멍게젓, 성게알젓, 명란젓, 칠게장 등등)

1. 젓갈에 대해서2. 가자미식해, 강원도 명태식해 레시피3. 전복젓, 게웃젓(전복내장젓), 소라젓, 멍게젓, 성게알젓, 명란젓4. 굴 젓, 어리굴젓, 새우젓, 멸치젓5. 갈치젓, 밴댕이젓, 조기젓, 창난젓,

suger-salt.tistory.com

 

숭어 내장을 소금에 절여뒀다가 먹기전 양념을 해서 먹는다.

소금에 절여둔 숭어 내장을 꺼내고 거기에 고춧가루, 깨, 고추, 파, 마늘 등등의 양념을 넣고 잘 섞어주면 끝이다.

반응형

한국인의 밥상 167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