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식품공부/동의보감140

(동의보감)메꽃 뿌리, 인동초, 사상자, 꿩의 비름 잎 아래의 자료들은 농촌진흥청에서 다운받은 자료 '2022동의보감 속 식품보감(04 약초류)' 에서 퍼옴. ⭐유의사항⭐ 식품보감은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나 입증이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의사, 한의사 및 영양사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 메꽃 뿌리 (멧ᄭᅩᆺ불휘) Calystegia japonica f. angustifoloa Makino ex Hara 선화근(旋花根), 미초(美草), 돈장초(㹠腸草) 🔶주요성분 : Afzelin, kaempferol 3-O-glucoside, rutin 🔶한의학적 효능 • (소화기계 건강) 뱃속이 차갑거나 열이 날 때에 주로 쓴다. • (이뇨.. 2023. 3. 29.
(동의보감)단삼, 오미자 아래의 자료들은 농촌진흥청에서 다운받은 자료 '2022동의보감 속 식품보감(04 약초류)' 에서 퍼옴. ⭐유의사항⭐ 식품보감은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나 입증이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의사, 한의사 및 영양사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 단삼 (단삼 丹蔘) Salvia miltiorrhiza Bunge. 분마초(奔馬草) 🔶주요성분 : Salvianolic acid, Salvianolic acid B, Tanshinone I, Trashinone IIA, Miltirone, Cryptotanshinone, Militibetin A 🔶한의학적 효능 • (관절 건강) 다리가 연약하.. 2023. 3. 28.
(동의보감)결명자, 결명 잎 아래의 자료들은 농촌진흥청에서 다운받은 자료 '2022동의보감 속 식품보감(04 약초류)' 에서 퍼옴. ⭐유의사항⭐ 식품보감은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나 입증이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의사, 한의사 및 영양사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 결명자 (초결명 草決明) Senna tora (L.) Roxb. 환동자(還瞳子), 마제결명자(馬蹄決明子) 🔶주요성분 : Chrysophanol, Physcion, Emodin, Obtusifolin, Obtusin 🔶한의학적 효능 • (눈 건강) 청맹, 충혈, 눈물이 흘러 피부를 적시고, 눈에 군살이나 백내장에 주로 쓴다. • (간‧신장 건강.. 2023. 3. 28.
(동의보감)방풍 잎, 애기부들 싹, 속단, 절굿대 잎·줄기, 찔레 열매 아래의 자료들은 농촌진흥청에서 다운받은 자료 '2022동의보감 속 식품보감(04 약초류)' 에서 퍼옴. ⭐유의사항⭐ 식품보감은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나 입증이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의사, 한의사 및 영양사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 방풍 잎 (병풍ᄂᆞ물 防風葉) 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ex Miq 🔶주요성분 : Deltoin, Imperatorin, Cimifugin, Panaxynol 🔶한의학적 효능 • (항염증) 감기로 열이 나면서 땀나는 데에 주로 쓴다. 🔶한의학적 성질 •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달고 매우며 독이 없다. 🔶섭취방법 •.. 2023. 3. 28.
(동의보감)황기 뿌리, 황기 잎·줄기 아래의 자료들은 농촌진흥청에서 다운받은 자료 '2022동의보감 속 식품보감(04 약초류)' 에서 퍼옴. ⭐유의사항⭐ 식품보감은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나 입증이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의사, 한의사 및 영양사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 황기 뿌리 (ᄃᆞᆫ너삼불휘 黃耆)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주요성분 : Astraisoflavan, Formonetin, Astrapterocarpan, Astragaloside I, Isoastragaloside 🔶한의학적 효능 • (면역증진) 기를 보강하고 살찌우며 기가 허약하여 생긴 땀을 멈추게 한다. • .. 2023. 3. 27.
(동의보감)흰 남가새, 남가새 씨 아래의 자료들은 농촌진흥청에서 다운받은 자료 '2022동의보감 속 식품보감(04 약초류)' 에서 퍼옴. ⭐유의사항⭐ 식품보감은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나 입증이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의사, 한의사 및 영양사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 흰 남가새 (납거ᄉᆡ) Tribulus terrestris L. 백질려(白蒺藜), 두질려(杜蒺藜) 🔶주요성분 : Diosgenin, Tribuloside, Kaemferol, Kaemferol-3-glycoside 🔶한의학적 효능 • (통증개선) 몸이 가렵고 감기로 인한 두통에 주로 쓴다. • (호흡기 건강) 폐가 위축되어 가래같은 고름을 토.. 2023. 3. 27.
(동의보감)원지, 천궁, 마삭줄 순 아래의 자료들은 농촌진흥청에서 다운받은 자료 '2022동의보감 속 식품보감(04 약초류)' 에서 퍼옴. ⭐유의사항⭐ 식품보감은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나 입증이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의사, 한의사 및 영양사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 원지 (아기플불휘 遠志) Polygala tenuifolia Willdenow 소초(小草) 🔶주요성분 : Polygalasaponin, Tenuifolin, Senegenin, 1,2,3,7-teteramethoxyxanthone, Tenuiside A, Tenuiside E, Tenuiside F, Tenuifoside A, Tenuifol.. 2023. 3. 27.
(동의보감)목향, 참마 아래의 자료들은 농촌진흥청에서 다운받은 자료 '2022동의보감 속 식품보감(04 약초류)' 에서 퍼옴. ⭐유의사항⭐ 식품보감은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나 입증이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의사, 한의사 및 영양사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 목향 (목향 木香) Inula helenium L. 청목향(靑木香) 🔶주요성분 : Costunolide, Dehydrocostuslactone, Cyclocostunolide 🔶한의학적 효능 • (통증개선) 오래된 냉기로 가스가 차거나 위장 통증을 가라 앉힌다. • (호흡기 건강) 기침이나 가래를 뱉을 때 땅기고 아픈 병증(현벽, 痃癖)을 치.. 2023. 3. 26.
(동의보감)땃두릅-땅두릅, 질경이 아래의 자료들은 농촌진흥청에서 다운받은 자료 '2022동의보감 속 식품보감(04 약초류)' 에서 퍼옴. ⭐유의사항⭐ 식품보감은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나 입증이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의사, 한의사 및 영양사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 땃두릅 (ᄯᅡᆺ둘흡) Aralia cordata Thunb 독활(獨活), 독요초(獨搖草) 🔶주요성분 : Kaurenoic acid, Continentalic acid 🔶한의학적 효능 • (통증개선) 고나절에 생긴 통풍을 치료한다. • (뇌 건강‧신경보호) 중풍으로 말을 못하는 것, 구안와사, 반신불수와 온몸에 감각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 .. 2023. 3. 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