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마늘쫑은 보통 4월 중순부터 5월 중순 사이에 나온다.
- 난지형 마늘의 경우, 이보다 조금 빠른 4월 하순부터 5월 상순에 수확할 수 있다.
- 한지형 마늘은 보통 5월 중순부터 마늘쫑이 올라오기 시작한다.
난지형 마늘과 한지형 마늘은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마늘을 지역별 기후 특성에 따라 크게 나눈 것으로
- 난지형 마늘은 따뜻한 지역 적합하고 남해, 고흥, 제주 일부 지역에서 재배한다.
- 난지형 마늘은 따뜻한 지역에서 빨리 자라 수확량이 많고 마늘쫑 생산에 유리하지만 저장성이 약하고 매운맛이 덜하다.
- 한지형 마늘은 추운 지역 적합한 마늘로 서산이나 의성, 단양 등 중부 내력 지방에서 재배한다.
- 한지형 마늘은 추운 지역에서 천천히 자라 낱알이 단단하고 맛과 저장성이 뛰어나지만 수확 시기가 늦고 마늘쪽 수가 적다.
마늘종은 먹기도 하지만, 씨마늘 갱신할 때도 활용한다.
마늘종이 올라오는 시기는 마늘이 커지는 때와 일치하므로 제때 종을 제거하지 않으면 땅속 마늘로 가는 영양분이 줄어 마늘 수확량이 평균 15% 정도 줄게 된다. 따라서 수확량을 늘리려면 마늘종이 나오는 즉시 꺾거나 잘라 제거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종자나 식용으로 쓸 때는 제거 방법에 좀 더 유의해야 한다.
마늘종을 제거하지 않으면 주아(으뜸눈)를 얻는 대신 특대(1)와 대(4)의 수가 감소하고 중(4)의 수가 늘어남
마늘종을 제거하면 주아(으뜸눈)는 없지만 특대(2)와 대(6)의 수가 늘어나고 중(1)의 수가 줄어듦
⇒ 마늘종 제거 시 전체 수확량 증가
- 마늘 수량 증가를 위해서는 출현 직후 제거
- 식용을 위해서는 출현 15일경에 마늘종을 수확
- 출현 20일 이후에 종을 길게 잘라 후숙시키면 작은 주아(으뜸눈)를 얻을 수 있음
- 출현 30일 이후에 종을 수확할 경우 충실한 주아(으뜸눈)를 얻을 수 있음
참고자료
농진청 ‘마늘종’ 재배 용도 따라 제거 방법 달라요.
728x90
반응형
'식품공부 > 식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로콜리 세척법과 브로콜리 데치기, 함께 먹으면 좋은 재료 (0) | 2025.04.27 |
---|---|
조기와 굴비의 차이점, 참조기와 부세 차이점 (0) | 2025.04.25 |
고대 곡물 파로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5.04.23 |
베이킹 소다와 베이킹 파우더의 차이점 (0) | 2025.04.17 |
문어철, 문어 제철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