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사려고 올리브 오일 고르는법을 정리해봤다.
살펴봐야 할 것을 요약하면
등급 & 산도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0.8이하), 그 외 올리브 오일 기본적으로 우리나라의 기준 2.0에 맞춘것이 아닐까 싶다.
생산 연도 & 유통기한
보통 1년~2년이고, 판매하는 것들 중 긴것을 택하면 된다.
식품의약처에 검색하면 유통기한이 몇년짜리인지 알 수 있음.(제작일을 알수있음)
유리병 색이나 사이즈
기름의 산패 요인은 빛, 열, 산소 이니까...갈색병이 유리하지만 투명병이라도 신문이나 과자 빈봉투로 감싸서 보관하면 되고, 사이즈는 작은것을 추천하는 이유가 뚜껑을 열때마다 산소에 노출되며 산패되어간다는 이유때문인데 소분해서 쓰는 것도 방법이다.
본인에게 맞는 사이즈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원산지 & 올리브 품종
솔직히 이부분은 어느 정도 많이 먹어본 사람 아니고는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같음.
대략 그냥 스페인과 이탈리아가 주요 산지이고, 이것도 그냥 스페인 이런거보다 스페인 어느 지역 이런게 더 신빙성 있지 않나..싶음.
품종은 피쿠알 쌉쌀묵직, 아르베키나 부드럽고 달콤, 프란토이노 균형잡힌 등등 으로만 알고 섞어서 만드는 경우도 있는것 같음.
암튼 추천템을 보고 먹어보고 하면서 경험데이터를 쌓아가면서 선택하는게....
그래서 내 결론은
일단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등급이면 산도가 0.8이하니까 두루두루 쓰려면 그냥 이거 사서 써도 될 것 같고,
(후라이팬에 이 기름을 두르고 연기가 펄펄 날 정도의 요리는 피하고 계란 후라이 정도는 상관없는듯)
건강용으로 먹으려면 좀 서칭해보고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등급이지만 산도가 0.8보다 낮은 0.1 이나 0.4 등등 그런 제품도 많으니까 그런걸 생식용으로 먹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글들 참고.
등급과 산도
- 우리 나라의 올리브유 등급
첨엔 0.6이하 라는 줄 알았더니 압착유 및 혼합유는 2.0이하라고 한다. 그니깐 해외등급으로 따지면 버진 올리브 오일 정도 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Extra Virgin Olive Oil)
최고 품질의 올리브 오일로, 산도가 0.8% 이하이고 맛과 향이 풍부.
샐러드, 드레싱, 빵을 찍어 먹는 용도로 적합합니다.
- 버진 올리브 오일 (Virgin Olive Oil):
엑스트라 버진보다는 품질이 약간 떨어지지만, 여전히 맛과 향이 좋습니다. 산도는 2% 이하.
볶음 요리나 구이 요리에 사용하기 좋습니다.
- 정제 올리브 오일 (Refined Olive Oil)
정제 올리브 오일은 람판테 버진 올리브 오일이나 품질이 낮은 버진 올리브 오일을 화학적으로 정제하여 만든 오일이다.
맛과 향이 거의 없다.
- 퓨어 올리브 오일 (Pure Olive Oil) 또는 수식어 없이 올리브 오일 (Olive Oil)
퓨어 올리브 오일은 정제 올리브 오일과 버진 올리브 오일을 혼합한 오일입니다.
맛과 향은 버진 올리브 오일에 비해 약하지만, 가격이 저렴하여 다양한 요리에 활용됩니다.
- 그리고 정제올리브오일이나 퓨어 올리브 오일 또는 표기없는 올리브 오일의 경우에도 우리 나라의 기준에 맞춰서 들여와야 하니까 2.0기준에는 맞춘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나름의 조사로 내린 결론인데 약간의 뇌피셜이 섞인것일 수 있음 주의)
- 그래서 우리가 보통 추천템이라고 하는 것들의 경우, 건강을 위해 먹는 올리브 오일은,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중에서도 더 좋은 산도를 지닌 오일을 말하는 것이다. 법적으로 그것을 밝혀야 하는 이유는 없지만 업체가 좋은 가격을 받으려고 밝히는 경우도 있긴 하니까....종합적으로 합리적인 판단을 해야할 필요가 있음.
주요 올리브유 생산지
1. 스페인 (Spain)
- 세계 최대의 올리브유 생산국으로, 전체 생산량의 약 40%를 차지합니다.
- 안달루시아 (Andalusia) 지역이 대표적인 생산지로, Picual, Hojiblanca, Arbequina 등 다양한 품종의 올리브를 재배합니다.
- 스페인 올리브유는 풍부한 맛과 향을 자랑하며, 특히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의 품질이 뛰어납니다.
2. 이탈리아 (Italy)
- 스페인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올리브유 생산국입니다.
- 토스카나 (Tuscany), 움브리아 (Umbria), 풀리아 (Puglia) 지역 등이 주요 생산지입니다.
- 이탈리아 올리브유는 품종과 지역에 따라 다양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으며, 요리에 풍미를 더하는 데 많이 사용됩니다.
3. 그리스 (Greece)
- 올리브의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오랜 역사를 가진 올리브 재배 전통을 자랑합니다.
- 크레타 (Crete) 섬이 대표적인 생산지로, Koroneiki 품종의 올리브를 주로 재배합니다.
- 그리스 올리브유는 맛과 향이 진하고, 특히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의 품질이 뛰어납니다.
4. 포르투갈 (Portugal)
- 스페인과 인접한 지역으로, 올리브 재배에 적합한 기후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 Alentejo 지역이 주요 생산지로, Galega, Cobrançosa, Arbequina 등 다양한 품종의 올리브를 재배합니다.
- 포르투갈 올리브유는 부드러운 맛과 향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됩니다.
5. 프랑스 (France)
- 프로방스 (Provence) 지역을 중심으로 올리브유를 생산합니다.
- Picholine, Lucques, Tanche 등 독특한 품종의 올리브를 재배하며, 소량이지만 고품질의 올리브유를 생산합니다.
- 프랑스 올리브유는 섬세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으며, 고급 요리에 많이 사용됩니다.
6. 튀니지 (Tunisia)
- 아프리카 북부에 위치한 튀니지는 지중해 연안 국가로, 올리브유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 튀니지 올리브유는 맛과 향이 부드러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타 올리브유 생산 국가
- 모로코 (Morocco), 터키 (Turkey) 등 북아프리카 및 중동 지역에서도 올리브유를 생산합니다.
- 미국 (USA), 호주 (Australia), 칠레 (Chile) 등에서도 소량이지만 고품질의 올리브유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올리브 품종
1. 피쿠알 (Picual)
- 스페인 남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으로,
- 전 세계 올리브 생산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 쌉쌀하면서도 묵직한 맛과 향이 특징이며, 항산화 성분이 풍부합니다.
2. 아르베키나 (Arbequina)
- 스페인 북동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으로,
- 피쿠알에 비해 부드럽고 달콤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생산에 많이 사용됩니다.
3. 프란토이오 (Frantoio)
- 이탈리아 중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으로,
- 균형 잡힌 맛과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쓴맛, 매운맛, 과일 향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다양한 요리에 활용됩니다.
4. 레치노 (Leccino)
- 이탈리아 중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으로,
- 섬세하고 부드러운 맛과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샐러드나 드레싱에 잘 어울립니다.
5. 코라티나 (Coratina)
- 이탈리아 남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으로,
- 강렬하고 쌉쌀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 폴리페놀 함량이 높아 건강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6. 칼라마타 (Kalamata)
- 그리스 남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으로,
- 짙은 보라색을 띠며 짭짤하고 쌉쌀한 맛이 특징입니다.
- 주로 식용 올리브로 사용됩니다.
7. 만자닐라 (Manzanilla)
- 스페인 서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으로,
- 크고 둥근 모양이 특징입니다.
- 주로 식용 올리브로 사용되며, 올리브 오일 생산에도 사용됩니다.
8. 호지블랑카 (Hojiblanca)
- 스페인 남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으로,
- 녹색을 띠며 쌉쌀하고 매운 맛이 특징입니다.
9. 엠펠트레 (Empeltre)
- 스페인 북동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으로,
- 달콤하고 부드러운 맛이 특징입니다.
10. 카욘 (Cayon)
- 스페인 북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으로,
- 과일 향이 풍부하고 균형 잡힌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품종이 있으며, 각 품종별로 독특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식품공부 > 식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른고사리 삶는법, 생고사리 삶는법 (0) | 2025.02.20 |
---|---|
명태의 유래와 여러 이름 총정리 (0) | 2025.02.13 |
물메기 곰치 물곰 꼼치 의 차이(꼼치류의 생태 및 습성, 분포 및 회유, 생산현황) (0) | 2025.01.30 |
간재미 홍어 가오리 차이(외관, 생태 및 습성, 분포 및 회유, 생산현황, 수출입 현황) (1) | 2025.01.28 |
장(된장, 집장, 고추장 등등)과 아플라톡신 (1) | 2025.01.03 |